촌락과 도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토의하기 수업을 했다. 수행평가를 하는 차시라서 수업을 더 신경 써서 했다. 이번 차시에서는 촌락과 도시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
교사가 직접 촌락과 도시에는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떤 해결 방법이 있는지 던져주기보다는, 아이들이 직접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서 최대한 아이들의 목소리를 이끌어 내는데 수업의 주안점을 두었다.
1.
촌락과 도시의 문제점을 무작위로 섞어서 허니컴보드에 쓴 다음, 아이들에게 이것이 촌락의 문제점이 도시의 문제점인지 맞춰보게 했다. 다른 것은 별로일 헷갈려하지 않았지만 소득과 일자리 부족 문제에 대해서는 약 3분의1 아이들이 이것을 도시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도시의 사람들이 너무 많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청년들을 뉴스에서 많이 봤기 때문이다. 그래서 물론 도시에도 일자리 부족 문제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다양하지 못하고, 그 수가 부족한 쪽은 촌락이기 때문에 소득과 일자리부족 문제는 촌락의 문제에 더 가깝다고 다시 한번 설명해줬다.
2
문제점을 각각 촌락과 도시로 구분한 다음 아이들에게 포스트잇을 4장씩 나눠주었다.
그리고 촌락과 도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에 적게 했다.(2장씩) 잘 모르겠으면 교과서를 참고하라고 했지, 대부분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직접 적고자 노력했다.






전혀 감이 오지 않는 친구들은 앞에 나와 친구들이 쓴 의견을 읽어보기도 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더 좋은 의견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3
이 활동이 모두 끝난 후에는 논술형 평가를 보았다. 내가 촌락의 이장이라면, 도시의 시장이라면 어떻게 우리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지 글(공약)을 써보는 논술형 평가였다. 앞에서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아이들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생각보다 쉽게 수행평가를 끝냈다.
채점 결과, 모든 아이들이 성취 기준에 도달해 있었다. 좋은 수업, 만족스러운 수업이었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4-2-1. 식물의 생활 (0) | 2023.09.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