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기록

교육과정 문해력, 유영식

미꼬 2023. 8. 20. 20:10
반응형

교육과정 문해력
교사가 전문직인 이유, 바로 교육과정 문해력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 교육과정 문해력이 높아지고, 배움중심수업,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문해력과 최근 교육계 이슈이면서 모호한 개념으로 현장의 선생님들이 어려워하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개념을 그림과 도식을 활용한 비주얼 싱킹 기법으로 누구나 쉽고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 전체 과정을 20개의 챕터로 구성하고 구체적 실천 지침과 저자가 직접 실천한 실천 사례들로 제시하여 앎과 실천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저자
유영식
출판
테크빌교육
출판일
2018.11.20
이 책은 이런 분께 추천해요


전문가로서의 교사,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싶은 교사가 보면 좋을 책이다. 교사가 교육 과정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수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우리보다 먼저 고민한 교사가 친절하게 가르쳐주는 솔루션이 담긴 책이다.

같은 말이 반복되거나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는 경향이 조금 있지만 수업에 대해 전반적인 것들을 생각해볼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책이었다.



이 책에는 이런 내용이 있어요.


교육 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위해서는 교사의 교육 과정 문해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교육과정 문해력이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아이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지식과 기능을 구분하고, 평가와 수업에 녹여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교육과정 문해력을 바탕으로 교사 교육 과정을 계발하여 수업과 평가를 진행할 때,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 중심 교육을 할 수 있다.

이때 교과서는 단순한 참고 자료일 뿐이며, 교사는 자신의 문해력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평가와 수업을 진행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걸 생각했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 교육 전문가로서의 교사가 어떻게 수업 전문성을 길러가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교과서에 나온 학습목표를 도달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 아니라, 성취 기준 도달여부와.
영리한 강화 여부에 더 초점이 맞춰야 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메 수업을 재구성 확인은 어렵겠지만, 앞으로 지도서와 교과서를 대해야할 태도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적용할 부분


교육 전문가로서 교사는, 아이들의 깊이 있게 사랑하는 것보다 수업을 잘하고 먼저 잘 가르쳐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그럼 글을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