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기록

부자의 독서법(2009). 송숙희 지음. 북새통 출판

미꼬 2023. 9. 30. 01:15
반응형

부자가 되기 위한 독서법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읽은 것을 자기화'하는 독서, 즉 문해력이 필요하다. 문해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먼저 책의 내용을 제대로 습득해야 한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여 책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내가 아는 경험 및 지식과 연결지어 실생활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능력을 갖추어야한다. 다시 말해 치열하게 읽고, 치열하게 사색하고 활용하는 것이 부자가 되기 위한 독서법이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하루에 1시간씩 일주일에 1권 읽기를 권한다. 또한  평일 5일동안 책을 읽고, 주말(2일)에는 읽은 내용을 3가지로 아웃풋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T&D, 리뷰, 에세이) 그리고 무엇보다도 부자가 되기 위한 독서법은, 책읽기를 가장 우선순위에놓고 꾸준히, 매일 실천하는 것이 매우 매우 중요하다.



<부자의 독서법> 리뷰

  이 책은 부자가 되는 독서법에 대한 내용으로,  부자들은 어떤 책읽기 습관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송숙희는 경희대 국어국문학 학사로, 아이디어바이러스의 대표로 재임하고 있다.  
  나는 부자가 되고 싶었다. 그리고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알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자와 부자가 아닌 사람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야 했다. 그래서 이 책을 고르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어떻게 책으로 돈을 버는 건지 알게 되었다. 책은 제대로 읽고, 읽은 내용을 실생활에 응용하여 돈이 되게 만드는 응용력이 중요하다. 또, 책의 내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할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왜냐하면 지적 전투력을 가지지 않으면 급변하는 이 세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흘러 가는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흘러가는대로 살아가는 것은 부자가 아닌  일반 사람들의 생활 방식일 것이다. 특별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내가 흡수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세상을 자신의 뚜렷한 기준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아주 중요한 것임을 깨달았다.
  이 책에서는 부자가 되려는 습관, 즉 부자의 독서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주어서 좋았다. 만다라트 독서표를 이용하여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깊이 읽는 방법, 그리고 인풋과 아웃풋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서 좋았다. 독서 체크리스트도 당장 오늘부터 실천하려고 스프레드시트에 만들어 두었다. 체크리스트와 함께 1일 1시간 독서를 꼭 실천할 것이다!!




책속 밑줄

"부자가 되려면 '진짜' 책읽기를 하라."

"책읽기를 돈으로 바꾸는 부의 핵심기술, 읽기능력은 거침없이 읽고 막힘없이 써먹는 문해력을 토대로 합니다. 문해력은 자기 머리로 읽고 생각하고 활용하는 생각머리를 일컫는데, 생각머리는 공부머리, 일머리로 개발되어 부자머리로 진화합니다. 부자머리는 하는 일마다 돈이 되는, 그래서 읽는 책마다 돈으로 바꿔주는 부자들의 초능력입니다."

"최고의 투자는 자신에 대한 투자이며 자신에게 하는 투자 중 책읽기만한 게 없다." - by 워런 버핏

"부자란 어느 경로를 택하든 그 자체로 목표가 아니라 먹고사는 동안 공들인 것에 대한 성과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부자가 된 사람들은 책읽기라는 인풋이 있어 부자라는 아웃풋에 도달했다고 증언합니다."

"부자의 필수 자격요건 3
-죽어도 빚지지 않는다
-죽도록 일한다.
-죽도록 읽는다."

"경제적 독립을 이루려면 주위 사람들과 정반대의 길을 가라. 빚을 레버리지(지렛대)라 포장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신용카드 포인트로 부자가 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빚부터 없애라." - by 데이브 램지

"우리가 소비하는 정보는 우리 몸에 넣은 음식만큼이나 중요하다." - by 에반 윌리엄스

"부자가 되는 것은 행운과 무관하며 모든 것은 습관에 달려 있다." - by 토마스 콜리

"부자들은 경제경영 전문서와 비소설, 위대한 인물의 전기를 주로 읽는답니다."

"부자의 길은 느리고도 꾸준한 일상의 혁명으로만 가능하다." - by 토마스 스탠리

"부자들은 책에서 성공의 원리원칙을 배웁니다. 또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생각하는 법과 지혜를 배웁니다. 새로운 지식과 현상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그들의 서재는 부자되는 능력을 기르는 공부방입니다. 부자들은 부를 지키기 위해 더 많이 공부합니다. 부를 늘리기 위해서는 더욱 지독하게 배웁니다."

"부자들은 잘 배우는 사람이고 그들은 문제가 생기면 이렇게 질문하지요. '어떻게 하면 되지요?' 그리고 책을 펼쳐 거기에서 해결책을 찾아냅니다."

"나는 독서와 생각을 많이 한다. 덕분에 대부분의 비즈니스맨들보다 충동적인 결정을 덜 한다." - by 워런 버핏

"더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 그 너머를 보아야 합니다. 그래야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생각하는 법을 모르면, 항상 돈을 잃게 됩니다." - by 돈 벨

"부자란 경제적으로 정신적으로 자유를 누리고, 하고 싶은 것은 언제든지 할 수 있고, 하기 싫은 것은 무엇이든 하지 않아도 되는 상태를 말한다." - by 김승호

"다르게 볼 줄 알아야 한다. 다르게 보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 by 김승호
"그(김승호)는 어릴 때부터 남이 하는 사업을 보며, '나라면 이렇게 할텐데...'라는 생각을 많이 했고, 남다른 관점을 가지게 된 것은  책을 많이 읽었기 때문이라고 단언합니다."

"책에 있는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자신의 생각이 설 자리가 없어진다. 내용 그대로를 필사하는 사람이 많은데, 저자보다 내용을 더 잘 기억하는 사람을 특히 위험하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 그의 도움으로 세상을 봐야지 거인의 무게에 짓눌리면 안 된다." - by 김승호

"종이 신문을 보는 것은 입맛에 맞는 뉴스만 골라 보는 편향성을 경계하기 위해서입니다."

"좋은 소설은 나만의 생각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생각으로 안내해준다. 소설을 통해서도 세상을 배울 수 있다." - by 빌 게이츠

"의심하고 질문하고 비판하면서 읽어라."

"비판적 읽기는 그럴 듯해 보이는 주장, 당연해 보이는 생각을 회의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비판적으로 읽고 보고 생각하고 판단하지 못하면, 그리고 정보나 뉴스나 소문 등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줄 모르면 듣고 싶은 대로 들어버립니다. 그러면 투자나 업무, 공부 그리고 일상에서까지 결과적으로 잘못이나 실수를 야기하여 큰 실패로 이어집니다."

"요약하기 방법
-Opinion(의견 내기): 저자는 OOO을 OO하라고 권한다. 또는 OO은 OO이라고 주장한다.
-Reason(이유 대기): 저자가 이런 권유를 하는 것은 OO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OO은 OO라고 주장하는 것은 OO이기 때문이다.
-Example(예시 들기): 저자는 이런 예를 들어 권유에 설득력을 더한다.  저자는 이런 예를 들어 주장에 설득력을 더한다.
-Opinion(강조하기):  이 책의 저자는 권유를 실천하도록 이런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의 저자는 주장을 실현하기 위해 이런 방법을 제시한다."

"113 매직
1권 1주일 내 3가지로 아웃풋한다"

"리뷰쓰기
-무슨 책을 읽었나요?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저자와 출판사, 어떤 내용인지 소개하기)
-왜 이 책을 읽었나요?(특별히 이 책을 고른 사연)
-책을 읽고 무슨 생각이 들어요? 어떤 변화가 있나요?
-왜 그런 생각이 들죠?
-특히 좋았던 내용은 뭔가요?
-딱 하나 바로 실천하겠다면 그게 뭔가요?
-밑줄 그으며 읽은 내용을 옮겨보세요.(그 대목이 왜 좋았는지 설명도 곁들이기)
-이 책을 누구에게 왜 추천하고 싶은가요?"

"좋아하는 일을 하며, 자신을 믿고 지지해주는 사람들과 살고 싶은 곳에서 풍요로움을 느끼며 사는 것이 성공한 부자의 모습이다." - by 워런 버핏
"당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라. 돈이 아니라 당신이 좋아하고, 사랑할 수 있는 일을 하라. 그러면 돈은 저절로 들어온다." - by 워런 버핏





이 책은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부자가 되고 싶은데 방법을 잘 모르겠어 헤매고 계신 분들,  독서 습관을 바로 잡기 위한 동기가 필요한 분들이 이 이 책을 읽으면 좋겠어요. 이 책은 다짜고짜 '책을 읽어라'가 아닌, '부자가 되기 위해서 제대로 책을 읽는 법'을 가르쳐주어서 좋았습니다. :)  

반응형